이메글리민 단독요법 제2형 당뇨병 환자 특성별 효과와 안전성 한눈에 정리
이메글리민 단독요법이 실제 외래에서 얼마나 믿을 만한지, 이메글리민 단독요법을 시작해도 환자마다 편차가 크지 않은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같은 용량을 써도 나이, 체형, 신장기능, 유병기간, 동반질환에 따라 반응이 크게 흔들리면 쓰기 어려운데요. 오늘 글은 무작위 위약대조 임상 두 건을 합쳐 본 분석을 바탕으로, 누구에게서 얼마나 떨어지고, 언제부터 반응이 보이며, 안전성은 어떤지 사람 말투로 풀어드립니다. 한눈에 보는 결론 핵심은 단순합니다. 연령대가 달라도, 마른 체형이든 과체중이든, 경증 만성콩팥병 단계(G1–G3a)든, 유병기간이 짧든 길든, 과거에 다른 경구제를 썼든 무치료였든 HbA1c가 일관되게 낮아졌습니다. 보통 4주 무렵부터 공복·식후 혈당 그래프가 벌어지기 시작해 24주까지 유지됐고, 이상반응은 위약군과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 실무 메시지는 “적용 범위가 넓고, 초반 체감이 빠르며, 안전성 프로필이 안정적”이라는 것 하나로 압축됩니다. 연구는 무엇을 어떻게 봤나 두 개의 무작위·이중눈가림·위약대조 시험을 합쳐, 1,000mg을 하루 두 번 복용하는 순수 단독요법을 24주간 추적했습니다. 하위분석 축은 세 가지였습니다. 첫째, 인구학(65세 이상/미만, BMI 25 이상/미만). 둘째, 임상특성(eGFR 45 이상인 CKD G1–G3a, 유병기간 <5년·5–<10년·≥10년, 이전 당뇨약 사용 유무). 셋째, 동반질환(고혈압·이상지질혈증, 간섬유화 위험 지표 등). HbA1c 변화는 반복측정 혼합모형으로, 안전성은 기술통계로 정리했습니다. 숫자로 읽는 효과 크기 실제 수치로 보면 그림이 선명합니다. 65세 미만과 이상에서 위약 대비 HbA1c 차이는 비슷했고, BMI 25 기준의 두 군에서도 개선폭이 안정적으로 유지됐습니다. eGFR 45 이상인 CKD G1–G3a 어느 단계에서도 HbA1c는 유의하게 내려갔고, 유병기간이 5년 미만부터 10년 이상까지 골고루 반응했습니다. 약을 써 본 경험에 관계없이, 무치료군·이전...